한국의 종교민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8:17
본문
Download : 한국의 종교민속.hwp
오늘날의 갈등은 공업화, 근대화 과정속에서 외래종교와의 문제인 것이다. 이것을 미신시하게 된 것은 일제말부터이고 그것은 민중의 집회를 막고 민족정신의 말살을 획책한데서 나온 것이다.
한국의 종교민속에 대한 글입니다.한국의민속종교[1].종교 , 한국의 종교민속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국의민속종교[1].종교
Download : 한국의 종교민속.hwp( 89 )
순서
한국의 종교민속
3. 동제
1936년 5월 현재 전국에서 동제(부락제)의 실시여부를 물은 결과, 그 실시율이 58%이고 북한에서 더 성황을 이루고 있다고 보고한 村山智順은 동제의 신성함에 감탄하는 듯하다.
이 당시의 농어민들에게는 이 동제가 오늘날의 일기예보나 농사메모, 전염벙 예보와 같은 역할을 한 것이었으나 농민의 수가 감소되고 기독교, 천주교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의 종교민속에 대한 글입니다. 동제에서의 기원내용은 다수 농어촌주민들의 풍농, 풍어와 가정이 무고를 비는 것이었다. 동제의 성격이나 기능 등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논고들이 있으므로 더 이상의 논의를 투비컨티뉴드 한다. 동제는 동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8.15해방 이후 농촌인구의 도시전출 현상은 동제의 필요성(必要性)에 대해 재론하게 만들었다. 국민들이 충성을 받칠 국가를 잃었을 때, 동제는 동회의 전야제였으며 그것은 오늘날 “국기배례”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등의 의미를 가졌었다. 장주근은 이 동제에 통합, 축제, 예술적 기능이 있음을 고찰한 바 있다
동제는 부락의 집단신앙의 대상으로 농민=민중의 협동성을 상징하는 종교민속이다. 오늘날 미신시되는 이 동제는 일제시대에만 하더라도 전국적인 분포를 보였던 민중신앙의 대상이었다. 의식주생활에 있어 언어와 행동에 제한이 있었고 그의 주의여부는 동민들의 관심사이었다.
근대사회에서의 동제의 특징은 제관의 금기가 엄격했다는 점이다.
“동제는 민간신앙 중에서 사회적 역할을 한 전형적인 것으로서 현대문명의 추세에 따라 쇠퇴일로에 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민족culture의 흐름을 밝히고 한국culture특질을 밝혀내는데 중요한 자료(資料)가 된다 ”
이것은 1969년 culture재관리국 주관으로 전국의 부락제당을 조사할 때의 질문이다.
다. 이 당시의 어촌이나 산촌의 제관들은 치성 또는 정신기간이 1년 또는 6개월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