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와 사회과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05:24
본문
Download : 전통문화와 사회과 교육.hwp
전통문화와 사회과 교육
전통문화
I. 전통文化
1. 전통文化의 개념(槪念) …………………………………………………………………………… 2
2. 전통文化의 분류 …………………………………………………………………………… 3
3. 한국 전통文化의 특징 ………………………………………………………………………6
4. 전통文化를 바라보는 관점 …………………………………………………………………6
5. 전통文化의 보존의 必要性 및 역할 ………………………………………………………8
II. 전통文化 교육
1. 文化교육 ………………………………………………………………………………………9
2. 전통文化 교육의 의미 …………………………………………………………………… 10
3. 전통文化 교육의 목적 및 必要性…………………………………………………………10
4. 전통文化 교육의 내용 …………………………………………………………………… 13
5. 전통文化 교육의 문제가되는점 ………………………………………………………………… 13
6. 전통文化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14
III. 사회과 교육과 전통文化 교육
1. 사회과 전통文化교육의 연관성 ………………………………………………………… 16
2. 제 7차 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전통文化 관련 내용 …………………………………17
3. analysis(분석) 틀에 따른 교과서 내용 analysis(분석) ……………………………………………………… 19
4. 전통文化에 관한 설문조사 ……………………………………………………………… 32
5. 재구성한 내용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strategy) …………………………………………………34
I. 전통文化
1. 전통文化의 개념(槪念)
(1) 학자들의 견해
① 이광규 - “전통文化란 한민족과 같이 하나의 민족이 오랜 세월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루어 온 생활文化이고, 그 민족에게 가장 적절한 삶의 지혜이다.”
② 한상복, 임희섭 - “전통文化란 전통사회의 文化가 아니라 현대사회에서도 적합성을 갖고 있는 文化적 유산이고 전통文化는 현대文化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성이 있으며, 또한 전통文化는 건축 설계, 의상 패턴, 사고 방식, 행동 원리, 생활 양식 또는 여러 가지 예술 에 담겨져 있는 에스프리(esprit 정신, 정수, key point(핵심) 적 요소, 의미)로서 주형(모델)이다.
레포트/인문사회
다.”
⑤ 김태혁 - “전통文化란 지난 시대에 이미 형성되어 계통을 이루어 전해 내려오는, 민족이나 사회의 전반적인 삶의 모습이며, 전통을 계승하는 것은 해로운 것은 버리고 이로운 것은 이어가며 새롭게 적용하는 부단한 선택과 창조의 과정이다.”
④ 이홍순, 김충실 - “전통文化란 역사(歷史)적으로 전해져 온 사상, 도덕, 풍속, 예술, 제도 등의 총칭이다.”
⑥ 이장섭 - 전통文化는 비학문적인 용례와 文化과학내의 개념(槪念)규정에 대한 구분이 필요
a. 일반적인 사용 : 전통文化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준 文化유산(물질文化 또는 유형文化재, 정신文化적인 요소 혹은 관념적인 것)으로서, 현재에도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전승된 文化와 유사한 개념(槪念)으로 이해
b. 학술적인 관점 : 전통文化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되는 文化현상이나 요소로 정이
⑦ 서대진- 한 민족의 역사(歷史)적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정신적 또는 물질적 성향이 여러 세대를 통해 전승된 것 → 민족의 생활양식과 가치관을 지배할 정도로 절대적 지지를 받아왔을 뿐 아니라, 역사(歷史)의 흐름 속에 매몰된 것이 아닌 현재에도 그 생명…(To be continued )
순서
설명






한국 전통문화와 전통문화 교육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에서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내용 분석을 통해 앞으로 전통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명했습니다.”
③ 유재근 - “전통文化는 항상 젊고 왕성하게 살아 있으며 과거와 현재를 未來(미래)로 change(변화)시켜 가는 文化이다. 그 면면과 발전은 언제나 시대 발전의 복잡한 과정에서 시대에 맞게 조정, 보완 되며 전해지는 것이다.전통문화 , 전통문화와 사회과 교육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전통문화와 사회과 교육.hwp( 69 )
,인문사회,레포트
한국 전통문화와 전통문화 교육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에서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내용 analysis을 통해 앞으로 전통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說明(설명)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