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19:46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hwp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빠르고 내륙에서 늦다.
다.
첫서리는 가을에서 겨울에 이르는 사이에 최초로 내리는 서리를 일컫는다.
마지막 서리는 겨울부터 봄에 이르는 사이에 가장 늦게 나타나는 서리를 가리킨다. 가장 빠른 곳은 서귀포로서 1월 20일경이고, 부산은 2월 10일경, 그리고 울릉도는 2월 24일경이다. 마지막 서리는 농작물의 싹이 튼 후에 흔히 발생하므로 첫서리에 비해 그 피해가 큰 것이 일반적이다
서리피해를 방지하는 방법은 지표면과 지표면 부근의 기온이 냉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종이나 천으로 식물을 덮는 방법 등이 있지만 광범위한 지역에 관련되어는 무리가 따른다.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송풍법, 살수법 등이 있따 송풍법은 15m 이상 기온과 지표면 부근 기온과의 차가 5`C이상일 때 효능가 있따 15m정도의 위치에 있는 송풍기로 따뜻한 공기와 지표면의 찬 공기를 잘 섞어서…(省略)
순서
우리나라기상재해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 , 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생활전문레포트 ,






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
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Download : 우리나라기상재해와그.hwp( 78 )
설명
우리나라기상재해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그림 4-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에서는 대체로 3월 중순에서 하순에 걸쳐 마지막 서리가 내린다. 서해안의 서산과 대천은 다른 해안지역에 비해 첫서리가 빠른 편인데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서해안에서는 3월 하순에서 4월 초순까지로 늦어진다. 대관령을 비롯한 산악지역에서는 9월말 내지 10월 초, 춘천·제천·인제 등 북부영서내륙에서는 10월 중순경, 그리고 내륙지역 가운데에서도 조금 남쪽에 위치한 수원·원주·청주·대전·의성·추풍령 등지에서는 10월 하순 초에 첫서리가 내린다. 특히 부산과 제주에서는 12월 하순경으로 그 시기가 늦어진다. 서해안의 남부 및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에서는 내륙지역보다 한달 정도 늦은 11월 중순경, 도서지역과 남동해안은 11월 하순경에 첫서리가 내린다. 그림 4-17은 첫서리 발생일의 지리적 분포를 보여준다. 내륙지방에서는 첫서리일이 가장 빠른 대관령(5월 11일)을 제외하면 대체로 4월 중순까지도 서리가 내린다. 첫서리현상은 북부지방으로 갈수록, 해안지방보다 내륙지방에서 일찍 나타나나 그 분포가 매우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