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00:31
본문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조선시대의 기록에서는 한문에 토를 다른 것을 현결이라고도 하고 현토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구결과 토를 혼용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구결은 향찰, 이두와 대등한 것으로 문장이나 그 이상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토는 향찰, 이두와 비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장의 단위까지를 포함할 수도 없는 것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조사중에 구결과 토에 대상으로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토를 뒷장에 있는 표에 따라 정자로 …(skip)
,인문사회,레포트
우리말발달사해결해야할문제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싸
순서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62 )
구결과 토에 관한 개념과 구역인왕경 및 일본문자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한문의 음, 훈을 알고 토를 읽을 수 있어도 그리 쉽게 이해되지 않는 글이었다. 즉 구결은 토에 의해서 지정된 한문의 독법을 말하는 것임에 대하여 토는 한문에 첨가되어 구결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한문을 우리말로 읽거나 이해하도록 지시하는 부호나 국어의 기능어, 또는 그 집합체들이라 할 수 있따 다시 쉽게 말한다면 구결에는 토가 포함되어 있을뿐 아니라 그 한문을 읽는 순서까지도 나타내고 있다는 말이다. 자료(data)를 찾던 도중 뒤에 복사한 표를 찾았을 땐 ‘이제 끝이다’란 생각을 했다.
구역인왕경
처음 책에 나온 구역인왕경을 해석하려고 했지만 답답할 뿐이었다.
레포트/인문사회
구결과 토에 관한 개념(槪念)과 구역인왕경 및 Japan문자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 구결과 토에 관한 concept(개념)
• 구역인왕경
• 일본문자에 대하여
구결과 토에 관한 concept(개념)
이 처리해야할문제를 처음 공부할 땐 구결과 토가 같은 의미인줄 알았다. 아무런 사전지식도 없었고 있는 건 단지 옥편 하나뿐이었다.
우선 책에 나와있지 않지만 구역인왕경중 읽기 쉬운 한 부분을 해석해 보겠다.우리말발달사과제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우리의 선인들도 구결과 토의 concept(개념)을 엄격히 구별해서 사용해 온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시ㅅㄴ 시 세계ㅅ 기지ㄴ 륙종로 진동고다 (구인 이 18)
위의 문장은 한문의 어순이 국어의 어순과 일치하고 있따 따라서 토도 한자의 우측에만 붙어 있음으로 한자가 놓인 어순에 따라 토와 함께 읽어 나가면 된다된다. 불경이라는 이유도 있겠고 당시의 한글표현과 오늘날의 한글표현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즉 한문을 읽을 때 단순히 토를 다는 작업을 다른 말로 구결이라 한다고 생각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