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23:26
본문
Download : 미륵사.hwp
Download : 미륵사.hwp( 17 )
미륵사






순서
한글-2
미륵사에 대하여 가람과, 석탑, 당간지주에 대해 자세히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레포트/공학기술
미륵사에 대하여 가람과, 석탑, 당간지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백제의 가람은 군수리사지·동남리사지·정림사지·금강사지·서복사지·미륵사지 등이 발굴되면서 그 배치형식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지금은 반쯤 무너져 버린 것을 식민지시기에 일본인들이 볼품없이 시멘트로 보수를 하여 반쪽 탑의 형태로 전해지고 …(To be continued )
,공학기술,레포트
다. 기본적으로 백제가람은 남북방향 일직선상의 중심축에 남쪽에서 index로 중문·탑·금당·강당을 배치하고 중문과 강당 좌우에 동서방향으로 각각 회랑을 배치하여 그것이 남북방향으로 꺾여 긴 장방형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어 탑과 금당을 둘러싸도록 조영된 이른바 일탑일금당(一塔一金堂)식 가람배치 형식을 하였다.
2. 미륵사지 석탑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터에 있으며, 국보 11호로 지정되어 있따 목탑을 그대로 돌로 옮겨 만든 느낌을 주는 한국 최고최대(最古最大)의 이 탑은 현재 6층(높이 14.24m)까지만 남아 있따 원래 7층이었는지 9층이었는지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논란이 있었으나, 80년대에 발견된 노반석의 크기와 남아 잇는 탑신의 비례관계로 미루어 보아 9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된다. 호승이란 서역 또는 인도의 승려를 뜻한다. 백제는 중국(中國)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한 그 이듬해인 385년에 한산주에 불사를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한산주 시대 백제의 가람 유적은 현재 아무 것도 파악되지 못하고 있따 그 후 백제는 475년에는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538년에는 사비(부여)로 천도하게 되는데, 이 때 불교가 융성하게 된다된다.한글-2 , 미륵사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1. 미륵사 가람 모형..................................................1
2. 미륵사지 석탑.....................................................4
3. 미륵사지 당간지주................................................ 6
4. 창건 배경.........................................................7
1) 창건 설화
2) 미륵 신앙
5. 참고 資料 .......................................................10
1. 미륵사 가람 모형
문헌상으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침류왕 원년(384) 중국(中國) 동진에서 온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에 의해서다. 탑이 앉은자리는 한 변의 길이가 10m 되는 정사각형이고 높이는 남아있는 것만으로도 14.25m에 이르는데, 원래의 크기를 추정하면 상륜부까지 합쳐서 26m 가량 되는 거대한 규모였다고 한다. 특히 성왕은 541년(19년) 양나라에 경전과 함께 공장(工匠)·화사(畵師)를 청하는데, 이 때 백제의 가람은 중국(中國) 양나라의 influence(영향)을 받아 조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된다.